top of page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관광: 5년간의 발전과 향후 과제

  • 작성자 사진: ICAS HUFS
    ICAS HUFS
  • 1일 전
  • 2분 분량

2025.09.29.

[Tourism in Tajikistan: Five Years of Progress and Persistent Barriers]


ree

5년 전, 캐나다 연구원 크리스티안 블로이어(Christian Bleuer)는 타지키스탄 관광 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25가지 주요 장애 요인에 대해 분석했다. 그 이후로 관광 산업은 꾸준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많은 과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다.

     

디지털화와 초기 진전

디지털 인프라 측면에서는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전자 비자 도입, 온라인 서비스, 그리고 eSIM 카드는 해외 여행자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두샨베에서는 새로운 호텔과 레스토랑이 문을 열었고, 주요 도시에서는 택시 서비스가 확장되었으며, M41 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재건축되었다.

     

이에 더해 관광 가이드 훈련 프로그램, 두샨베, 호로그 및 기타 도시에 관광 정보 센터 설립, 숙박 및 레스토랑 산업의 경쟁 심화 등 다양한 조치들이 이루어졌다. 전문가들은 또한 여행 블로거와 소셜 미디어가 공식 마케팅 캠페인보다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부분적인 개선

도시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개선되었지만, 지역 간 격차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주요 도시의 경우 관광객들이 괜찮은 호텔과 카페를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시외 서비스 품질은 여전히 들쑥날쑥하다.

     

전자비자 시스템을 도입해 입국 절차를 간소화했지만, 해당 플랫폼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또한 구글 지도나 모바일 앱 등은 도심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지만, 두샨베와 후잔드를 벗어나면 이용이 제한적이다.

     

한편, 금융 인프라 개선을 통해 수도에 더욱 많은 ATM이 설치되었다. 그러나 외화 접근성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다. 항공 분야는 ‘오픈 스카이(Open Sky)’ 정책하에 중국 및 우즈베키스탄 노선이 개설되는 등 일부 진전을 보였으나, 여전히 높은 항공료가 잠재적 방문객의 발길을 막고 있다.

     

지속적인 도전 과제

지속적인 시스템 문제 역시 관광 개발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꼽히는데, 이중 연결성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타지키스탄은 유선 인터넷 속도에서 전 세계 117위이며, 모바일 데이터 성능은 평균 24Mbps 미만으로 지역 경쟁국들에 뒤처진다.

     

환경 문제 역시 관광의 질을 저해하고 있다. 쓰레기는 농촌 지역뿐만 아니라 두샨베에서도 눈에 띄는 사회 문제다. 아울러 지르가탈 국경 통과 지점은 외국인에게 폐쇄되고, 하부라바드 고개를 통과하는 파미르 고속도로는 겨울철에 대부분 접근이 어러워 교통 문제 역시 이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국적인 드론 사용 금지 조치로 인해 사진 및 영상 관광 기회가 제한되고 있다. 게다가, 여행사, 택시 운전사, 호텔 운영자 간의 협조 부족으로 통합된 관광 전략의 수립이 어려운 상황이다.

     

구조적 제약

타지키스탄이 직면한 일부 한계는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타지키스탄의 내륙국으로써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접근성 문제가 제기된다. 또한, 이웃 우즈베키스탄과 달리 지역 문화관광을 주도할 만큼의 풍부한 건축 유산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 개발은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두샨베의 역사적인 건물 철거와 광범위한 벌목으로 인해 수도의 미적 매력을 크게 훼손했다.

     

타지키스탄의 ‘2030 관광 개발 전략’은 자국 관광 산업의 부진을 보여주고 있다. 낮은 투자 수준, 취약한 인프라, 고르지 못한 서비스 품질로 인해 세계 관광 시장에서의 기여도는 여전히 미미하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타지키스탄 관광 산업이 여전히 잠재력을 지녔다고 분석한다. 관광 산업은 청년층을 대상으로 고용 기회를 창출하고 노동 이주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더 적극적인 민간 부문의 참여, 서비스 수준의 향상, 그리고 보다 효과적인 국제 홍보가 필요하다.

     

     

     

번역: 김세희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