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모든 게시글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14세 미만 아동의 소셜 미디어 이용 금지 논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1694af7e78f74f3f91ad99f7df5419fb~mv2.jpe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1694af7e78f74f3f91ad99f7df5419fb~mv2.webp)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14세 미만 아동의 소셜 미디어 이용 금지 논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1694af7e78f74f3f91ad99f7df5419fb~mv2.jpe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8b6669_1694af7e78f74f3f91ad99f7df5419fb~mv2.webp)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14세 미만 아동의 소셜 미디어 이용 금지 논의…
타지키스탄에서 14세 미만 아동의 소셜 미디어 이용을 금지하자는 제안이 여론과 전문가들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관심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비판하는 사람들은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그리고 부모의 지도가 전면적인 소셜 미디어 이용 금지보다 더 효과적인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 의회의 엄격한 통제 촉구 딜노자 아흐마조다 의원은 나로드나야 가제타(Narodnaya Gazeta) 기고문을 통해 이 법안을 발의했다. 그녀는 14세 미만 아동의 소셜 미디어 접근을 금지하고 14세에서 17세 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서면 동의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아흐마조다는 올해 초 허위 및 유해 콘텐츠를 겨냥한 아동권리보호법 개정안이 이미 통과되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러한 개정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한 아흐마조다는 “아동과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사용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개정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학생들을 기업가로 육성하기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 추진](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84cdf04e24ca49b49850f2c83f045662~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84cdf04e24ca49b49850f2c83f045662~mv2.webp)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학생들을 기업가로 육성하기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 추진](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84cdf04e24ca49b49850f2c83f045662~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84cdf04e24ca49b49850f2c83f045662~mv2.webp)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학생들을 기업가로 육성하기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 추진
2025.10.21. [Yangi hamkorliklar qirg‘izistonlik talabalarni tadbirkorga aylantirishga qaratilgan] 지난 10월 20일, 투자 펀드인 센트럴 아시아 캐피털(Central Asia Capital)은 실습 중심 교육 확대와 학생 창업 지원을 통해 새로운 고용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유수프 발라사근(Jusup Balasagyn) 키르기스 국립대학교(KNU), 키르기스-러시아 슬라브 대학교(KRSU)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비즈니스 경험, 멘토링, 그리고 창업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학계와 산업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센트럴 아시아 캐피털 이사회 의장인 안톤 소빈(Anton Sobin)은 “KNU 및 KRSU와의 협약은 학생들이 지식을 배우는 데서 나아가 실제 비즈니스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대인 범죄 발생 건수 감소](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244d24598d994a8994128b234c28d361~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244d24598d994a8994128b234c28d361~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대인 범죄 발생 건수 감소](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244d24598d994a8994128b234c28d361~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244d24598d994a8994128b234c28d361~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대인 범죄 발생 건수 감소
2025.10.20. [Qozog‘istonda jismoniy shaxslarga qarshi jinoyatlar kamaymoqda] 카자흐스탄의 예르잔 사데노프(Yerzhan Sadenov) 내무부 장관은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 중범죄와 공공장소 범죄가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사데노프 장관에 따르면, 내무부가 시행한 전반적인 조치를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면서 전체 범죄 건수가 전년도 동기 대비 7%(약 6,000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살인, 중상해, 강도, 폭행, 난동, 절도를 포함한 주요 범죄 유형에서 범죄율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리와 기타 공공장소에서 발생한 범죄율 역시 감소했다. 사데노프 장관은 이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안전이다. 개인 대상 범죄가 줄어든다는 것은 시민 보호가 강화된다는 의미이다”라고 말했다. 내무부는 또한 범죄 조직 해체에서도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지난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 아래에서: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중국의 고고학 외교](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996d0d09ecde403a9eb0035a2f1d588a~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996d0d09ecde403a9eb0035a2f1d588a~mv2.webp)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 아래에서: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중국의 고고학 외교](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996d0d09ecde403a9eb0035a2f1d588a~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996d0d09ecde403a9eb0035a2f1d588a~mv2.webp)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 아래에서: 우즈베키스탄에서의 중국의 고고학 외교
2025.10.20. [Ipak yo‘li ostida: Xitoyning O‘zbekistondagi arxeologik diplomatiyasi]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베이징은 지상이 아닌 땅 아래로 뻗어가는 미묘한 형태의 영향력을 추구하고 있다. 고속도로, 송유관, 산업단지와 더불어 중국은 공동의 역사와 문화를 매개로 주변국과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고고학 외교에 투자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중국의 고고학 외교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하고 있다. 양국은 무역과 인프라 구축을 넘어, 한때 실크로드를 따라 번성했던 고대 문명의 유적을 발굴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과학과 전략이 결합한 형태로써, 역내에 확대되는 중국의 하드 파워(hard power)를 보완하며 소프트파워적(soft power) 접근법을 제공한다. 또한 중국-우즈베키스탄 공동 연구팀은 우즈베키스탄의 수르칸다리야,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시, 대기질 개선을 위한 녹화 캠페인 추진](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b7d13a58a9d6485cabe7206ad7b4416e~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b7d13a58a9d6485cabe7206ad7b4416e~mv2.webp)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시, 대기질 개선을 위한 녹화 캠페인 추진](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b7d13a58a9d6485cabe7206ad7b4416e~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b7d13a58a9d6485cabe7206ad7b4416e~mv2.webp)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시, 대기질 개선을 위한 녹화 캠페인 추진
2025.10.17. [Greening Campaign in Bishkek Targets Air Quality Improvement] 지난 10월 15일 비슈케크시 전역에서 녹화 캠페인이 시작됐다. 이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오염된 도시 중 하나인 비슈케크의 환경 악화 문제에 대응하고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수도 전역에 걸쳐 10,000그루 이상의 수목 묘목이 식재될 예정이다. 비슈케크시 행정부에 따르면, 교육 기관 주변 지역에 우선순위가 부여하고, 시내 모든 학교 주변에 녹지 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한때 구소련에서 가장 푸른 도시 중 하나로 여겨졌던 비슈케크는 무분별한 개발과 인프라 확장으로 인해 상당한 초목을 잃었다. 따라서 이번 나무 심기 캠페인은 수십 년간의 도시 삼림 훼손을 복원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환경 전문가들은 도시 계획자들에게 현재 도시 조경을 주로 이루고 있는 침엽수 대신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워싱턴에서 경제 성장 전략 발표](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d61138649b454f27a17672e701270da6~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d61138649b454f27a17672e701270da6~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워싱턴에서 경제 성장 전략 발표](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d61138649b454f27a17672e701270da6~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d61138649b454f27a17672e701270da6~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워싱턴에서 경제 성장 전략 발표
2025.10.17. [Kazakhstan Presents Economic Growth Strategy in Washington] 지난 10월 15일, 카자흐스탄의 세릭 주만가린(Serik Zhumangarin) 부총리가 워싱턴 D.C. 소재 미국 상공회의소에서 미국-카자흐스탄 비즈니스 위원회(USKZBC) 주최로 열린 원탁회의에서 선도적인 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자국의 새로운 능동적인 경제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주만가린 부총리는 “올해 카자흐스탄의 GDP는 3,3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중앙아시아 전체 경제의 약 60%를 차지한다”고 말하면서, 2024년 말 1인당 GDP가 14,000달러를 넘어섰고, 구매력 평가 기준으로는 44,000달러를 초과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더해 카자흐스탄 정부는 2029년까지 총 GDP를 4,500억 달러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자흐스탄은 3년 연속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0c14e5f109ad4930a71f5d2637fc9ffb~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0c14e5f109ad4930a71f5d2637fc9ffb~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0c14e5f109ad4930a71f5d2637fc9ffb~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0c14e5f109ad4930a71f5d2637fc9ffb~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
2025.10.14. [Kazakhstan’s Emerging Role in Global Rare-Earth Supply Chains] 세계 희토류 시장의 불안정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카자흐스탄이 글로벌 공급망의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중국이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를 예고하자, 이에 대해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100% 관세 부과 방침으로 맞대응하며 미·중 간 경제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안정적인 희토류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동아시아를 넘어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풍부한 자원, 새로운 가능성 카자흐스탄은 구소련 시절부터 광물 조사 및 탐사가 활발히 이루어진 지역으로, 희토류 매장 잠재력이 높은 나라로 평가된다. 최근 국영기업 ‘카즈지올로지(Kazgeology)’와 민간 기업의 공동 조사 결과, 네오디뮴(Neodymium), 프라세오디뮴(Praseodymium), 디스프로시움(Dyspro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 가상 박물관, 해양 전시관 개관… 고대 해상 무역사 체험 가능](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2f553b2f35e04eb5b9d3231c13a4260f~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2f553b2f35e04eb5b9d3231c13a4260f~mv2.webp)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 가상 박물관, 해양 전시관 개관… 고대 해상 무역사 체험 가능](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2f553b2f35e04eb5b9d3231c13a4260f~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2f553b2f35e04eb5b9d3231c13a4260f~mv2.webp)
[우즈베키스탄] 실크로드 가상 박물관, 해양 전시관 개관… 고대 해상 무역사 체험 가능
2025.10.01. [Silk Road Shipwrecks: Virtual Museum Opens Maritime Section] 지난달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주목받는 문화 프로젝트 중 하나인 '실크로드 가상 박물관(Silk Road Virtual Museum, SRVM)'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 실크로드 가상 박물관은 16세기 이전 유라시아의 삶과 예술을 보여주는 20개 이상의 온라인 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 고대 무역로의 해상 역사 전시관을 본격 개관했다.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 아시아학 연구소의 주도로 시작된 이 온라인 전시관은 방문객들이 실제 박물관을 거닐 듯 테마별 전시실을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홈페이지의 세계 지도를 통해 원하는 실크로드 지역을 클릭하면, 해당 지역의 역사 시대 유물과 예술품을 소개하는 비디오 투어가 시작되며 각 전시물에는 관련 설명도 함께 제공된다. 현재 해당 박물관은 사마르칸트
![[타지키스탄] 영국 소재 Really English, 타지키스탄 교육부와 협정 체결](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4d55e121ce9e4c089bdf683f20044bfd~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4d55e121ce9e4c089bdf683f20044bfd~mv2.webp)
![[타지키스탄] 영국 소재 Really English, 타지키스탄 교육부와 협정 체결](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4d55e121ce9e4c089bdf683f20044bfd~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4d55e121ce9e4c089bdf683f20044bfd~mv2.webp)
[타지키스탄] 영국 소재 Really English, 타지키스탄 교육부와 협정 체결
2025.10.17. [Buyuk Britaniyada joylashgan Really English Partners with Tojikiston Ta'lim vazirligi] 타지키스탄이 교육과학부와 영국 디지털 학습 기업 Really English 간의 새로운 협정을 통해 영국과의 교육 협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이번 협정은 타지키스탄 전역의 대학에 영어 및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호미드 호쉼조다(Homid Khoshimzoda) 교육과학부 제1차관은 협정의 세부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두샨베에서 Really English의 수장 나이젤 킬릭(Nigel Killick)과 회담을 가졌다. 양측은 영어 교육의 확대, 현대적인 교육 방법론의 도입 그리고 혁신적인 디지털 학습 도구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 호쉼조다 차관은 영국과의 교육 협정을 환영하며, 글로벌 학업 및 전문직 진출 기회를 확대하기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제1회 콜로키움 개최
2025년 중앙아시아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 제1회 콜로키움 개최를 알려드립니다. 일정과 내용은 아래와 같으며,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자: 2025년 11월 4일 11:00 장소: 글로벌캠퍼스 어문관 206호 제목: 우즈베키스탄 전략에서 언어교육과 국제협력(O'zbekiston strategiyasida til ta'limi va xalqaro hamkorlik) 발표: Rector, Prof. Dr. Rikhsieva Gulchehra Shavkatnovna(타슈켄트 국립 동방학대학교 총장, 우즈베키스탄) 주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사업단·중앙아시아학과·특수외국어교육원 후원: 한국연구재단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 TAPI 파이프라인 '소폭 진전' 성과 강조](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9bd2a2809e2347049605f3f41c85b7ad~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9bd2a2809e2347049605f3f41c85b7ad~mv2.webp)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 TAPI 파이프라인 '소폭 진전' 성과 강조](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9bd2a2809e2347049605f3f41c85b7ad~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8b6669_9bd2a2809e2347049605f3f41c85b7ad~mv2.webp)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 TAPI 파이프라인 '소폭 진전' 성과 강조
2025.10.27 [Turkmenistan and Afghanistan tout modest TAPI pipeline progress] 투르크메니스탄의 최고 지도자인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이 파이프라인 건설 사업을 감독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을 방문, 카불의 아프가니스탄 정부와의 양국 관계 개선을 환영하며 지역 무역을 촉진한 미국에 감사를 표했다.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은 10월 20일 아프가니스탄 서부 헤라트에서 열린 연설에서 "고대부터 이어진 투르크멘과 아프간 국민의 관계가 크게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파키스탄과 인도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TAPI 파이프라인 사업이 "참여국뿐만 아니라 이 지역 모든 국가의 사회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TAPI 파이프라인 구상은 아프가니스탄이 지난 반세기 동안의 갈등과 불안정 속에서 비교적 평온했던 시기인 1990년대 중반으로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첼리니(Tselinny)’ 문화센터, Architectural Record 표지에 등장](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31417e422428475ba3e20e8874b8cec7~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31417e422428475ba3e20e8874b8cec7~mv2.webp)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첼리니(Tselinny)’ 문화센터, Architectural Record 표지에 등장](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31417e422428475ba3e20e8874b8cec7~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31417e422428475ba3e20e8874b8cec7~mv2.webp)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첼리니(Tselinny)’ 문화센터, Architectural Record 표지에 등장
2025.10.02. [Almaty’s “Tselinny” Cultural Center Featured on Cover of Architectural Record] 카자흐스탄의 건축 및 문화적 경관이 이례적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알마티의 현대 문화센터 ‘첼리니(Tselinny)’가 1891년부터 미국에서 발행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 잡지인 Architectural Record의 표지에 실린 것이다. 국제적인 인정 최신 호에서 첼리니 개관을 위해 알마티를 방문한 기자, 앤드류 에이어스(Andrew Ayers)는 이 프로젝트를 ‘구소련 영화관의 새로운 얼굴’ 그리고 ‘카자흐스탄의 식민지 과거를 재해석하는 제스처’라고 묘사했다. 그는 기사를 통해 설계팀이 지역적 맥락을 우선시했으며, 모든 작업은 카자흐스탄 현지 시공업체가 담당했고, 내부 디자인도 알마티의 젊은 건축가들이 담당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많은 신축 박물관과는 달
![[카자흐스탄] EU, 중앙아시아 디지털 연결성 강화를 위한 주요 계획 착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87ad4407b09440caa72f542a3afd1324~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87ad4407b09440caa72f542a3afd1324~mv2.webp)
![[카자흐스탄] EU, 중앙아시아 디지털 연결성 강화를 위한 주요 계획 착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87ad4407b09440caa72f542a3afd1324~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87ad4407b09440caa72f542a3afd1324~mv2.webp)
[카자흐스탄] EU, 중앙아시아 디지털 연결성 강화를 위한 주요 계획 착수
2025.10.15. [EU Launches Major Initiative to Boost Digital Connectivity in Central Asia] 유럽 연합이 중앙아시아 전역의 디지털 연결성을 확대하기 위한 주요 계획을 발표했다고 카자흐스탄 주재 EU 대표부가 전했다. 이 계획은 지역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포용적인 사회,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계획은 EU의 글로벌 게이트웨이 (Global Gateway) 전략의 일환으로, 중앙아시아 디지털 결성에 관한 팀 유럽 이니셔티브 (Team Europe Initiative, TEI)의 정치적 출범 행사에서 공식 발표되었다. 이 계획은 주목적은 인프라, 위성기술,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를 통해 중앙아시아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가속하는 것이다. “글로벌 게이트웨이와 중앙아시아 디지털 연결에 관한 팀 유럽 이니셔티브가 새로운 장을 열고
![[타지키스탄] 잘랄루딘 루미(Jalaluddin Lumi) 헌정 뮤직비디오로 타지크 학생들 로스앤젤레스에서 수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b934c344d1b0499590455a025837c775~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b934c344d1b0499590455a025837c775~mv2.webp)
![[타지키스탄] 잘랄루딘 루미(Jalaluddin Lumi) 헌정 뮤직비디오로 타지크 학생들 로스앤젤레스에서 수상](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b934c344d1b0499590455a025837c775~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b934c344d1b0499590455a025837c775~mv2.webp)
[타지키스탄] 잘랄루딘 루미(Jalaluddin Lumi) 헌정 뮤직비디오로 타지크 학생들 로스앤젤레스에서 수상
2025.10.14. [Tajik Students Win Award in Los Angeles for Music Video Honoring Jalaluddin Rumi] 일리아스 다우디(Ilyas Daudi) 감독의 잘랄루딘 루미(Jalaluddin Rumi) 뮤직비디오 ‘나이 누미(Nai Noumie)’가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영화제 ‘최우수 뮤직비디오’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이 프로젝트는 수백 개에 이르는 해외 출품작 중에서 선정됐다. 프로젝트 제작 모스크바 국립 영화대학교(VGIK)에 재학 중인 타지크 학생 샤흐리요르 굴마흐마드조다(Shahriyor Gulmakhmadzoda)와 요수만 이스마일로바(Yosuman Ismailova) 역시 이 영상 제작에 참여했다. 이들은 이란 작곡가 아라쉬 팔라드반드(Arash Faladvad)가 곡을 붙인, 유명한 페르시안 신비주의 잘랄루딘 루미의 시를 낭송했다. 이 작품은 다우디 감독이 동양
![[우즈베키스탄] 세관 협력 강화로 우즈베키스탄과 튀르키예 간 교역 규모 26억 달러 달성](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4e03d324d8b549c899f9d1347f4ab77d~mv2.png/v1/fill/w_36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4e03d324d8b549c899f9d1347f4ab77d~mv2.webp)
![[우즈베키스탄] 세관 협력 강화로 우즈베키스탄과 튀르키예 간 교역 규모 26억 달러 달성](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4e03d324d8b549c899f9d1347f4ab77d~mv2.png/v1/fill/w_454,h_312,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4e03d324d8b549c899f9d1347f4ab77d~mv2.webp)
[우즈베키스탄] 세관 협력 강화로 우즈베키스탄과 튀르키예 간 교역 규모 26억 달러 달성
2025.10.15 [Uzbekistan-Turkey Trade Reaches $2.6 Billion as Customs Cooperation Deepens] 역사적인 도시 히바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튀르키예 공동세관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우즈베키스탄 국가세관위원회는 튀르키예와의 무역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양국 간 교역 규모가 26억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양국 정상은 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정치·무역·투자·문화·인도주의적 계획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토대를 마련했다. 2018년 첫 공동세관위원회 회의가 개최된 이후, 2024년 말 기준 양국 간 교역 규모는 19억 달러에서 26억 달러로 약 35% 증가하였다. 세계 경제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관계자들은 양국의 성과에 주목하며, 심화한 세관 협력을 통해 향후 한층 더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가장 괄목할 만한 발전 중 하나는 2022년에 이루어진
![[튀르키예] 튀르크 세계영화제 카자흐스탄에서 개최](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1e907849d4114b3a853892740e9c2c69~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1e907849d4114b3a853892740e9c2c69~mv2.webp)
![[튀르키예] 튀르크 세계영화제 카자흐스탄에서 개최](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1e907849d4114b3a853892740e9c2c69~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1e907849d4114b3a853892740e9c2c69~mv2.webp)
[튀르키예] 튀르크 세계영화제 카자흐스탄에서 개최
2025.10.01. [Türk dünyasi sinemasi Kazakistan'da] 문화관광부와 튀르키예 개발협력청(TİKA)의 지원으로 제5회 코르쿠트 아타(Korkut Ata) 튀르크 세계영화제가 10월 1일부터 4일까지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된다. 문화관광부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로 5회째를 맞은 세계영화제는 튀르크 세계의 공통 문화유산을 기념하고 영화 예술을 통해 미래로 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세계영화제는 문화관광부과 개발협력청의 지원을 받아 국제 튀르크 문화기구(TÜRKSOY)의 주관하에 카자흐스탄 문화정보부가 주최한다. 이번 축제를 통해 튀르크 세계의 공통된 가치와 영화 예술에서의 창의력이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축제에서 튀르키예를 대표하는 작품으로는 장편 부문에서 야으즈 알프 아카이딘(Yağiz Alp Akaydin)의 “공화국의 노래(Bir Cumhuriyet Şarkisi)”와 젱 폴라 이즈
![[튀르키예] 튀르크어사용국기구 제12차 정상회담: 어떠한 주제들이 논의되었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fe42a87666e0423a8041add8dc09f106~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fe42a87666e0423a8041add8dc09f106~mv2.webp)
![[튀르키예] 튀르크어사용국기구 제12차 정상회담: 어떠한 주제들이 논의되었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fe42a87666e0423a8041add8dc09f106~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fe42a87666e0423a8041add8dc09f106~mv2.webp)
[튀르키예] 튀르크어사용국기구 제12차 정상회담: 어떠한 주제들이 논의되었나?
2025.10.07. TDT 12. Zirvesi: Masada hangi konular vardi? “지역 평화와 안보”를 주제로 제12차 투르크국가기구(Türk Devletleri Teşkilati, TDT) 정상회담이 2025년 10월 6일부터 7일까지 아제르바이잔 게벨레에서 개최되었다. 이 정상회담에서 투르크국가기구 순회의장국은 기르기스스탄에서 아제르바이잔으로 이양되었다. 특히 모든 회원국과 옵서버국이 고위급 대표단으로 참석했다는 점에서 이번 정상회담이 투르크국가기구 내에서 개최된 가장 강력한 정상회담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정상회담 폐막 이후 각국 정상들은 121개 조항으로 구성된 게벨레 선언문을 채택하고, “TDT+” 체제 확립, TÜRKSOY 강화, 그리고 투르크 아카데미 개편에 관한 협정에 서명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은 투르크 아카데미와 터키 문화유산재단의 옵서버국이 되었고,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TRNC)은
![[카자흐스탄] 우주 속 여성: 카자흐스탄, 최초의 전원 여성으로 구성된 SANA-1 실험 성료](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b6374191d59c4fc182cc853e8c33c116~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b6374191d59c4fc182cc853e8c33c116~mv2.webp)
![[카자흐스탄] 우주 속 여성: 카자흐스탄, 최초의 전원 여성으로 구성된 SANA-1 실험 성료](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b6374191d59c4fc182cc853e8c33c116~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b6374191d59c4fc182cc853e8c33c116~mv2.webp)
[카자흐스탄] 우주 속 여성: 카자흐스탄, 최초의 전원 여성으로 구성된 SANA-1 실험 성료
2025.10.14 [Ayollar kosmosda: Qozog‘iston SANA-1 bo‘yicha birinchi ayollar tajribasini yakunladi] 카자흐스탄이 전원 여성 승무원으로 구성된 첫 우주 연구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우주선을 모사한 특수 지상 기반 모듈에서 10일간 진행된 SANA-1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 우주 프로그램의 이정표이자,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카자흐스탄 최초의 여성 크루(crew) 아스타나에서 고립에 대한 정신 생리학적 반응 연구에 중점을 둔 SANA-1 과학 실험 결과가 공식 발표되었다. 카자흐스탄 우주 연구 역사상 여성 엔지니어와 과학자만으로 임무를 수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로젝트의 과학 책임자인 알리나 구토레바(Alina Gutoreva)에 따르면, 이 연구의 목표는 "제한된 공간에서 인간의 인지적, 생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최초의 여성 우주인, 블루 오리진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6cadb80456df4418a82b57aa5bd93d9e~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6cadb80456df4418a82b57aa5bd93d9e~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최초의 여성 우주인, 블루 오리진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6cadb80456df4418a82b57aa5bd93d9e~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6cadb80456df4418a82b57aa5bd93d9e~mv2.webp)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최초의 여성 우주인, 블루 오리진 비행을 마치고 지구로 귀환
2025.10.9 [Kosmosdagi birinchi qozoq ayol Blue Origin reysida Yerga qaytdi] 지난 2025년 10월 8일, 카자흐스탄 국적의 단나 카라구소바(Danna Karagussova)가 블루 오리진의 뉴 셰퍼드(New Shepard) 우주선에 탑승하여 성공적으로 준궤도 비행을 마치면서 카자흐스탄과 CIS(독립국가연합)를 통틀어 우주로 비행한 최초의 여성이 탄생했다. 이번 비행은 억만장자 제프 베이조스(Jeff Bezos)가 소유한 회사가 운영하는 NS4 로켓의 15번째 유인 비행이자 16번째 발사 및 착륙 성공 사례다. 카라구소바의 아들인 아이투아르 알리베코프(Aituar Alibekov)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스레드(Threads)를 통해 귀환 소식을 발표했다. 그는 "어머니가 돌아왔습니다. 최초의 카자흐스탄과 CIS 출신 우주 관광객입니다. 사랑하고 매우 자랑스럽습니다."라고 전했다.
![[우즈베키스탄] 워싱턴과 타슈켄트, 무역 및 투자 확대 추진](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df0d96d2fdc24301b2c1c4dfd098605b~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8b6669_df0d96d2fdc24301b2c1c4dfd098605b~mv2.webp)
![[우즈베키스탄] 워싱턴과 타슈켄트, 무역 및 투자 확대 추진](https://static.wixstatic.com/media/8b6669_df0d96d2fdc24301b2c1c4dfd098605b~mv2.pn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8b6669_df0d96d2fdc24301b2c1c4dfd098605b~mv2.webp)
[우즈베키스탄] 워싱턴과 타슈켄트, 무역 및 투자 확대 추진
2025.10.7 [Vashington va Toshkent ko'proq savdo va sarmoya kiritishga intilmoqda] 지난 9월 23일, 뉴욕 유엔에서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이 더 이상 전임자들이 추진했던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의 고립 정책이나 '단독 경제 개발' 전략을 고수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오늘날 우즈베키스탄은 그 어느 때보다 비즈니스에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이는 거래가 상호 호혜적일 때에 한정된다. 그럼에도 워싱턴과 타슈켄트 모두 자본과 무역의 흐름을 가속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음은 분명하다.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유엔에서 “우리의 최우선 목표는 우리나라의 모든 가족과 시민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인간의 존엄성과 행복을 증진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까지 구시대적인 사회·경제적 제도와 사고방식을 벗어나 새로운 국가로 도약하려는 우즈베키스탄의 의지를 보여준다
bottom of page
